강아지 귀는 구조적으로 사람보다 감염에 취약해요. 하지만 보호자 입장에서는
‘언제, 얼마나 자주, 어떻게’ 청소해야 하는지 헷갈리기 쉬워요.
이 글에서는 견종에 따라 다른 강아지 귀청소 주기, 증상별
귀청소 시기, 단계별 올바른 귀청소 방법, 귀청소 거부하는 강아지를 위한
대응법까지 정리했어요.
핵심 내용
- 강아지 귀청소 주기는 견종, 귀 형태, 생활습관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야 해요.
- 귀냄새, 분비물, 귀 긁기, 고개 기울이기 등은 귀청소 또는 진료가 필요한 주요 신호예요.
- 귀세정제 사용법부터 거부 반응 대처법까지, 귀청소 전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해드려요.
강아지 귀청소 주기
강아지마다 귀 구조, 피지 분비, 털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귀청소 주기도
달라져요.
특히 처진 귀를 가진 아이나 귀 안에 털이 많은 견종은 청소 주기를 더 자주
잡아줘야 해요.
견종별 귀청소 주기 정리표
견종 | 귀 형태 | 권장 청소 주기 | 참고사항 |
---|---|---|---|
말티즈, 푸들 | 귀털 많고 습기 많은 구조 | 주 1~2회 | 귀털 주기적 제거 필요 |
시츄, 코커스파니엘 | 처진 귀, 피지 분비 많음 | 주 1회 | 귀냄새, 끈적한 분비물 주의 |
포메라니안 | 귀 안 털 많고 반직립 | 2주 1회 | 건조한 계절엔 청소 간격 넓혀도 가능 |
진돗개, 시바견 | 직립귀, 통풍 잘됨 | 월 1~2회 | 주기적 관찰만으로도 충분한 경우 많음 |
골든리트리버, 래브라도 | 큰 처진 귀 | 주 1~2회 | 수영이나 목욕 후 청소 필요 |
바셋 하운드 | 길고 무거운 귀 | 주 1회 이상 | 습기 고이기 쉬워 염증 위험 높음 |
과도한 귀청소는 귀 내부 정상 세균 균형을 무너뜨려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강아지 귀청소 시기
귀청소는 무조건 정해진 주기로만 하는 게 아니에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보이면 시기가 되지 않았더라도 청소해줘야 해요.
이럴 때 귀청소가 필요해요
- 귀에서 시큼하거나 곰팡이 냄새가 날 때
- 귀 안에 검은 때처럼 보이는 분비물이 쌓여 있을 때
- 귀를 자주 긁거나 바닥에 비빌 때
- 고개를 기울이거나 한쪽으로만 머리를 흔들 때
- 귀 안이 붉고 만졌을 때 뜨거운 느낌이 날 때
단, 귀 안에서 진물이 흐르거나 통증이 심할 경우에는 청소보다 병원 진료가
먼저예요.
염증 상태의 귀를 청소하면 오히려 병이 악화될 수 있어요.
강아지 귀청소 하는법
귀청소는 단순히 귀를 닦는 게 아니라
귀 속 이물질과 분비물을 안전하게 제거하는 과정이에요.
잘못된 방식은 고막 손상이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요.
귀청소 준비물
- 강아지 전용 귀세정제
- 화장솜 또는 거즈
- 수건 (귀 털기 방지용)
- 간식 (청소 후 보상용)
단계별 귀청소 방법
-
귀 만지기 훈련부터 시작하세요
청소 전 귀를 만지는 연습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여요. -
귀세정제를 귀에 떨어뜨려요
귀 입구에 1~2방울 넣고 귀를 살짝 오므려줘요. -
귀 바닥을 부드럽게 마사지해요
세정액이 안쪽까지 퍼지도록 15~20초 정도 눌러줍니다. -
강아지가 머리를 흔들게 해주세요
이물질이 밖으로 나오도록 유도해요. -
겉에 흘러나온 분비물을 닦아줘요
화장솜이나 거즈로 귀 바깥을 가볍게 닦아요.
※ 면봉은 귀 바깥 부분만 조심스럽게 닦을 때만 사용하고, 귀 안쪽 깊숙이 넣는 건 피해주세요. 귀 안은 민감해서 자극을 줄 수 있어요. -
필요 시 반복하고 마무리는 간식
이물질이 계속 보이면 2~3회 반복 가능해요.
끝나면 간식 보상으로 긍정 연상 강화해요.
강아지 귀청소 거부
많은 보호자들이 겪는 고민이에요.
귀를 조금만 만져도 피하고, 청소 시 크게 저항하는 경우가 많아요.
귀청소 싫어하는 강아지 대처법
- 귀 만지는 것부터 훈련: 귀를 만질 때마다 간식 주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 귀세정제 병에 익숙하게 만들기: 냄새 맡게 하고 칭찬, 간식 제공
- 한쪽 귀만 짧게 먼저 청소: 한 번에 다 하지 말고 짧게 나눠 진행
- 도움이 필요하면 가족 보조 요청: 혼자 하려다 강아지가 더 싫어할 수 있어요
- 청소 후 무조건 보상: 청소 후 긍정적 경험으로 남도록 해요
만약 청소 도중 강하게 물거나 과민반응이 보인다면, 억지로 하지 말고 수의사에게 맡기거나 상담을 받아야 해요.
귀청소 후 주의해야 할 반응
청소가 잘 되었는지 아래 항목을 체크해보세요.
확인 항목 | 체크 포인트 |
---|---|
냄새 | 청소 후에도 냄새가 계속 나면 염증 가능성 있어요 |
분비물 | 청소 후에도 검거나 끈적한 분비물이 남아있다면 추가 청소 또는 진료 필요해요 |
통증 반응 | 청소 후에도 귀를 만지면 피하거나 아파하면 병원 진료가 필요해요 |
귀 흔들기 | 청소 후 과도한 귀 흔들기는 자극 잔존 가능성이 있어요 |
귀 상태 | 귀 안이 붉거나 부어 있다면 병원 내원 필요해요 |
FAQ
Q1. 강아지 귀냄새가 심한데 귀청소만으로 괜찮을까요?
귀에서 계속 냄새가 난다면 세균이나 곰팡이 감염일 수 있어요. 이 경우 귀청소만으로는 해결이 어렵고 병원 진료가 필요해요.
Q2. 귀청소를 자주 하면 더 좋지 않나요?
아니에요. 너무 자주 청소하면 귀 안의 유익한 세균 균형이 무너져서 오히려 염증이 생길 수 있어요.
Q3. 귀에 진물이나 피가 섞인 분비물이 보이면 어떻게 하나요?
이런 경우엔 절대 집에서 청소하지 말고, 바로 병원에서 진단받아야 해요. 고막 손상이나 심한 감염일 가능성도 있어요.
마무리
귀청소는 강아지의 청력, 균형감각, 감염 예방을 위해 꼭 필요한 관리예요.
하지만
무조건 자주 하는 게 아니라, 아이에게 맞는 주기와 방식으로 진행하는 게
핵심이에요.
귀 상태에 따라 횟수를 조절하고, 무엇보다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과 배려가
중요해요.